2025 연차수당 계산기와 정확한 계산 방법 총정리

미사용 연차를 금액으로 환산하는 방법,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했을 때 이를 금전으로 보상받는 연차수당은 많은 직장인들에게 중요한 권리입니다. 하지만 계산 방식이나 포함되는 임금 항목이 복잡해 직접 계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본 글에서는 연차수당을 쉽게 계산할 수 있는 온라인 도구를 소개하고, 공식 계산식과 함께 유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퇴직을 앞둔 분, 연차를 소진하지 못한 직장인 모두에게 유익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연차수당, 이렇게 계산됩니다

연차수당의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일 통상임금 × 미사용 연차일수 = 연차수당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1일 통상임금’을 정확히 계산하는 것입니다.

항목 계산식 또는 설명
1일 통상임금 (월 통상임금 ÷ 월 소정근로시간) × 1일 소정근로시간
연차수당 위에서 계산한 1일 통상임금 × 미사용 연차일수

예시:
- 월 통상임금: 3,000,000원
- 월 소정근로시간: 209시간
- 1일 소정근로시간: 8시간
→ 3,000,000 ÷ 209 × 8 = 114,832원
- 미사용 연차 7일이면: 114,832 × 7 = 803,824원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통상임금은 단순 기본급뿐만 아니라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수당이 포함되어야 정확합니다.

포함 항목 포함 여부
기본급 포함
정기적·고정적 수당 (직무수당 등) 포함
연장근로수당, 연차수당 등 제외 (비정기성)
비정기 상여금 제외

퇴직 시 연차수당도 동일하게 계산됩니다

퇴직 시점에 사용하지 않은 연차휴가는 전액 연차수당으로 보상받아야 합니다. 이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되며, 회사가 정해둔 정산일에 함께 지급됩니다. 퇴직 전 연차 일수 산정과 수당 확인은 노무 상담 또는 계산기 활용이 가장 정확합니다.




연차수당 계산기 추천 사이트 TOP 3

아래 온라인 계산기들은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월급·근무시간·연차일수만 입력하면 결과가 즉시 제공됩니다.

계산기명 주요 기능 및 특징
노동OK 계산기 월급, 연차일수 입력 → 자동 연차수당 산출
시프티 계산기 기본급 외 상여금·수당 포함 가능, 통상임금 반영
유리지갑 계산기 입사일, 미사용 연차 반영 → 실질적 퇴직정산 계산 가능

연차수당 계산 시 유의해야 할 점

  • 연차촉진제도 시행 여부: 회사가 연차 사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했다면, 수당 지급이 면제될 수 있음
  • 계약서 또는 취업규칙의 명시 내용: 정기상여금 포함 여부 등은 개별 기업마다 다름
  • 근속기간 산정 기준일: 연차 발생 기준일이 입사일 또는 회계년도 기준인지 확인 필요

연차 발생 기준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연차수당은 미사용 연차일수를 기반으로 계산되므로, 정확한 연차 발생 일수 파악이 중요합니다.

근속 기간 연차 일수 예시
1년 미만 월 1일 (최대 11일)
1년 이상 연 15일 + 추가휴가(2년마다 1일씩 추가)

실제 연차수당 계산 예시로 확인해보세요

예시 조건
- 월급: 3,200,000원
- 월 근로시간: 209시간
- 일 근무시간: 8시간
- 미사용 연차: 5일

→ 3,200,000 ÷ 209 × 8 = 122,488원
→ 122,488 × 5일 = 612,440원 (예상 수당)


정확한 연차수당 확인을 원한다면?

  • 연차수당 계산기는 빠르고 간편하지만, 개별 수당 포함 여부, 퇴직금 영향 여부 등은 전문가 판단이 필요합니다.
  • 인사팀 또는 외부 노무사의 확인을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정확한 자료 확인용 급여명세서, 연차사용내역표, 근로계약서를 보관하세요.



댓글 쓰기

다음 이전